andy_chen2
Andy CHEN
대만 공정거래위원회 부위원장

Vice-Chairman, Taiwan Fair Trade Commission

Anthony Brandt
Anthony K. BRANDT
라이스대학교 교수

Professor, Rice University

WKZ radiologie
Baskaran BALASINGHAM
위트레흐트대학교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Utrecht University

christopher_yoo
Christopher YOO
펜실베니아대학교 교수, CTIC 디렉터

Professor & Director, CTIC, University of Pennsylvania

Chul-soo LEE
Chul-soo LEE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Chairman, Korea Polytechnics; Professor Emeritus, Seoul National University

Daesuk Oh (1)
Daesuk OH
창원지방법원 판사

Judge, Changwon District Court

Daniel_BRUNNER
Daniel BRUNNER
스위스 연방대법원 IT 소장

Head of the IT Department and AI Specialist, Swiss Federal Supreme Court

Daryl Lim
Daryl LIM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교수

Professor,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Dongjin LEE-Pica
Dongjin LEE
서울대학교 교수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Eun-Ju LEE
Eun-Ju LEE
서울대학교 교수, CTAI 센터장

Professor & Director, CTAI, Seoul National University

Eunice HUANG-Pica
Eunice HUANG
구글 아시아태평양 AI 및 신기술 정책 총괄

Head of AI and Emerging Tech Policy, Asia-Pacific Google

Geun LEE
Geun LEE
서울대학교 교수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Henry SHEVLIN
Henry SHEVLIN
케임브리지대학교 레버흘룸 미래지능센터 부소장

Associate Director, Leverhulme Centre for the Future of Intelligence, University of Cambridge

Hyundeuk CHEON
Hyundeuk CHEON
서울대학교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oo OH
Insoo OH
넷마블 개발센터 센터장

Division Director, Development Center, Netmarble

Jaeho MOON
Jaeho MOON
공정거래위원회 국장

Director General, Korea Fair Trade Commission

Janet Napolitano
Janet NAPOLITANO
UC 버클리 교수, 전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

Professor, U.C. Berkeley; former Secretary of Homeland Security, United States of America

Jonggu JEONG
Jonggu JEONG
(주)젠아이피 대표, SAPI 연구원

CEO, GenIP; Researcher, SNU AI Policy Initiative

Joseph HARRINGTON
Joseph HARRINGTON
펜실베니아대학교 와튼스쿨 교수

Patrick T. Harker Professor, The Wharton School, University of Pennsylvania

June Sig SUNG
June Sig SUNG
크래프톤 AI Interactive Agent 실장

Head of AI Interactive Agent Dept., Krafton

gus_h
Justin (Gus) HURWITZ
펜실베니아대학교 CTIC 학술 디렉터

Academic Director, CTIC, University of Pennsylvania

kyeongjin
Kyoungjin CHOI
가천대학교 교수, 한국인공지능법학회 학회장

President, Korean Associ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Law; Professor, Gachon University

Masako WAKUI
Masako WAKUI
교토대학교 교수

Professor, Kyoto University

Myuhng Joo KIM
Myuhng Joo KIM
인공지능안전연구소(AISI) 소장

Executive Director, AI Safety Institute, Republic of Korea

Nicholson-Headshot---Square
Nicholson PRICE
미시간대학교 교수
Professor, University of Michigan
Pil Ho KIM
Pil Ho KIM
포스코 DX 고문

Advisor (Senior VP), POSCO DX

Sangok SEOK
Sangok SEOK
네이버랩스 대표

CEO, NAVER LABS

박상철
Sangchul PARK
서울대학교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Sayash KAPOOR
Sayash KAPOOR
프린스턴대학교 펠로우

Fellow, Princeton University

Shao-Man LEE
Shao-Man LEE
국립쳉쿵대학교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Shun-Ling CHEN
Shun-Ling CHEN
대만 중앙연구원 연구부교수

Associate Research Professor, Institutum Iurisprudentiae, Academia Sinica (IIAS), Taiwan

Soohyung LEE
Soohyung LEE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서울대학교 교수

Monetary Policy Board, Bank of Korea;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Soonmin BAE
Soonmin BAE
KT AI Future Lab 소장, CRAIO

Head of AI Future Lab & CRAIO, KT

stephan
Stephan SONNENBERG
웨슬리언대학교 실무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of Practice, Wesleyan University

Sungroh YOON
Sungroh YOON
서울대학교 교수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Trevor QUICK
Trevor QUICK
Harvey 매니저

Manager, Harvey

yongLIM
Yong LIM
서울대학교 부교수, SAPI 디렉터

Associate Professor & Director, SNU AI Policy Initiative

Yong Suk LEE
Yong Suk LEE
노터데임대학교 교수

Associate Professor, Notre Dame University

Andy CHEN

대만 공정거래위원회 부위원장

Vice Chairman, Taiwan Fair Trade Commission

Andy Chen은 현재 대만 공정거래위원회(TFTC)의 부위원장으로 재직 중입니다. 이전에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TFTC의 위원으로 활동했고, 2010년부터 2021년 1월까지는 대만 중위안대학교(Chung Yuan Christian University) 법학부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2021년 2월 TFTC에 다시 합류했습니다. 위 기간 중 2019년부터 2021년까지는 법학부 학장을 역임하였습니다. Chen 부위원장은 국립대만대학교(LL.B.), 쑤저우대학교(대만, LL.M.), 듀크대학교(미국, LL.M.), 노스웨스턴대학교(미국, SJD)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했으며, 주로 경제 분석의 관점에서 반독점 및 규제 문제에 대해 중국어와 영어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Andy Chen is currently the Vice Chairperson and Acting Chairperson of the Taiwan Fair Trade Commission (TFTC). Previously, Andy held the position of Commissioner at the TFTC from 2007 to 2010. In February 2021, Andy rejoined the TFTC following an eleven-year academic tenure at the School of Law, Chung Yuan Christian University in Taiwan, where he was a professor of law from 2010 to January 2021. He also served as Dean of the law school from 2019 to 2021. Andy holds law degrees from National Taiwan University (LL.B.), Soochow University (Taiwan, LL.M.), Duke University (LL.M.) and Northwestern University (Doctor of Juridical Science; SJD). He has published extensively on antitrust and regulatory issues in both Chinese and English, primarily from an economic analysis perspective.

Anthony K. BRANDT

라이스대학교 교수

Professor, Rice University

Anthony K. Brandt 교수는 라이스대학교 셰퍼드 음대(Shepherd School of Music)에서 작곡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네 편의 실내 오페라를 비롯하여 오케스트라, 실내악, 성악, 연극, 무용, TV 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작곡해 왔습니다. Brandt 교수는 신경과학자 David Eagleman과 함께 현재 14개국에서 출판된 The Runaway Species: How Human Creativity Remakes the World를 공동 집필한 바 있습니다. 창의성과 음악 인지에 관한 다양한 글을 저술해 왔으며, 음악과 모바일 뇌-신체 이미징(mobile brain-body imaging)을 결합한 선도적인 연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Anthony Brandt is a Professor of Composition at Rice University’s Shepherd School of Music. Anthony’s catalogue includes four chamber operas, as well as orchestral, chamber, vocal, theater, dance, and television scores. Anthony and neuroscientist David Eagleman co-authored The Runaway Species: How Human Creativity Remakes the World, which has been published in fourteen countries. He has written extensively about creativity and music cognition and is currently a co-investigator in pioneering studies involving music and mobile brain-body imaging.

Baskaran BALASINGHAM

위트레흐트대학교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Utrecht University

Baskaran Balasingham 교수는 위트레흐트대학교 법학부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경쟁법과 디지털화, 특히 빅테크 기업의 시장 지배력 남용에 대해 폭넓게 연구해 왔습니다. Balasingham교수는 킹스칼리지 런던(King’s College London)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영국 Competition and Markets Authority에서 근무했습니다. 박사과정을 시작하기 전에는 유럽연합집행위원회 경쟁총국(DG Competition)에서 연수를 수료했습니다. 또한 조지타운 로스쿨(Georgetown Law School), 막스플랑크 혁신경쟁연구소(Max Planck Institute for Innovation and Competition), 한난대학교(Hannan University)에서 방문연구원으로 활동한 바 있습니다.

Baskaran Balasingham i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Utrecht University School of Law. Baskaran has done extensive research on competition law and digitalisation, particularly the abuse of dominance by Big Tech companies. Baskaran completed his PhD at King’s College London. During his PhD he briefly worked at the UK Competition and Markets Authority. Before starting his PhD he completed a traineeship at DG Competition of the European Commission. He has been a visiting researcher at Georgetown Law School, the Max Planck Institute for Innovation and Competition and Hannan University.

Christopher YOO

펜실베니아대학교 교수, CTIC 디렉터

Professor & Director, CTIC, University of Pennsylvania

Christopher Yoo 교수는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Carey Law School의 법학, 커뮤니케이션, 컴퓨터 및 정보과학 교수로서 John H. Chestnut Professor입니다. Christopher Yoo 교수는 행정 및 규제법, 지식재산권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학자 중 한 명으로 5권의 저서와 100편이 넘는 학술 논문을 집필했습니다. 주요 연구로는 다수의 사람들을 인터넷에 연결하는 혁신적인 방법에 관한 조사, 중국·유럽·미국의 공정거래법 비교, 최적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기술적 결정 요인에 관한 분석, 자율주행차와 의료 기기, 인터넷 라우팅 설계에 있어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증진 방법, 인터넷 플랫폼에 대한 규제 연구 등이 있습니다.

Christopher Yoo is the John H. Chestnut Professor of Law, Communication, and Computer & Information Science at University of Pennsylvania Carey Law School. As one of the most cited scholars in administrative and regulatory law as well as intellectual property, Christopher has authored five books and over 100 scholarly works. His major research projects include investigating innovative ways to connect more people to the Internet; comparing antitrust law in China, Europe, and the U.S.; analyzing the technical determinants of optimal interoperability; promoting privacy and security for autonomous vehicles, medical devices, and the Internet’s routing architecture; and studying the regulation of Internet platforms.

Chul-soo LEE

이철수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Chairman, Korea Polytechnics; Professor Emeritus, Seoul National University

이철수 교수는 노동법 전공으로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교수로 정년퇴임 후 명예교수로 추대되었고, 현재는 학교법인 한국폴리텍의 이사장으로 재직 중입니다. 한국노동법학회 회장, 한국노사관계학회 회장 등을 지냈고, 지금도 서울대 노동법연구회 회장,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공익위원,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으로 이론과 현실을 접목하는 활동을 왕성하게 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 대화 등을 통해 한국 노동법제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2008년 홍조근정훈장을 받았습니다. 노동법의 전 영역에 걸친 심도 있는 연구와 논문을 바탕으로 노동법학의 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해 왔습니다. 『영혼 있는 노동』(2019), 『노동의 미래』(2020) 등의 저서를 펴내 노동법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학문후속세대 양성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Chul-soo Lee is an Emeritus Professor of labor law at the School of Law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currently serves as Chairman of the Korea Polytechnics Foundation. He has led key academic societies, including the Korean Society of Labor Law, and serves as a public interest member of national labor commissions. A recipient of the Order of Service Merit (Red Stripes) in 2008, he is recognized for bridging theory and practice in labor law. He received his Bachelor’s, Master’s, and Ph.D. degrees in Law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is publications, including “Work with a Soul” (2019) and “The Future of Labor” (2020), reflect his commitment to advancing labor law and mentoring future scholars.

Daesuk OH

오대석

창원지방법원 판사

Judge, Changwon District Court

오대석 판사는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민사소송 전공으로 석사과정을 수료한 후 Harvard Law School에서 LL.M.를 취득한 법조인입니다. 사법시험 37회 최연소 합격, 사법연수원 38기 수료 후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서부지방법원, 수원지방법원, 부산고등법원을 비롯한 각급 법원에서 풍부한 사법 경험을 쌓았습니다.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역임한 후 현재 창원지방법원 부장판사로 재직 중이며, 동시에 대법원 인공지능위원회 실무지원단 팀장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민사판례연구회와 민사소송법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법학 연구와 실무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Daesuk Oh is a jurist who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completed graduate studies in civil litig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efore earning an LL.M. from Harvard Law School. After becoming the youngest candidate to pass the 37th Korean Bar Examination and completing training at the 38th Judici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he built extensive judicial experience across multiple court levels, including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Seoul Western District Court, Suwon District Court, and Busan High Court. Following their tenure as a Research Judge at the Supreme Court, he currently serves as Presiding Judge at Changwon District Court while simultaneously leading the Practical Support Division of the Supreme Court’s Artificial Intelligence Committee. He actively engages in legal scholarship and practice as a member of both the Civil Case Studies Association and the Civil Procedure Law Research Association.

Daniel BRUNNER

스위스 연방대법원 IT 소장

Head of the IT Department and AI Specialist, Swiss Federal Supreme Court

Daniel Brunner는 스위스 연방대법원(Swiss Federal Supreme Court)의 수석 IT 전문가로, 법원의 정보기술 및 디지털 서비스 관리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그는 법원의 기술 인프라를 강화하고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은 국가 차원의 디지털 사법 체계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Daniel은 공공기관에서 자유 소프트웨어 활용을 장려하는 다양한 이니셔티브에 참여해 왔으며, AI의 책임 있는 활용에도 전문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판결문의 익명화 도구와 같은 AI 기반 시스템이나, 생성형 AI의 책임 있는 사용을 위한 ChatTF와 같은 프로젝트를 통해 법원 내 의사결정 과정과 자동화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Daniel Brunner is a senior IT expert at the Swiss Federal Supreme Court, managing its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gital services. He plays a pivotal role in enhancing the court’s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and digital transformation also at the national level. He has been involved in various initiatives promoting the use of free software in public institutions. He also has expertise in responsibl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tributing to AI-related projects that improve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automation within the court system, such as AI-driven tools for decision anonymization or ChatTF for the responsible use of generative AI.

Daryl LIM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교수

Professor,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Daryl Lim 교수는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디킨슨 로스쿨(Penn State Dickinson Law)에 재직 중입니다. Lim교수는 Research and Strategic Partnerships의 부학장이자 Intellectual Property (IP) Law and Innovation Initiative의 창립 책임자이기도 합니다. 또한 Institute of Computational and Data Sciences의 공동 임용 교수이며, 2025년 해당 Research Council에 임명된 바 있으며, Center for Socially Responsible Artificial Intelligence의 소속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Daryl Lim is the H. Laddie Montague Jr. Chair in Law at Penn State Dickinson Law. Daryl is also the Associate Dean for Research and Strategic Partnerships and Founding Director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IP) Law and Innovation Initiative. At the university level, Daryl is a co-hire at the Institute of Computational and Data Sciences and was appointed to its Research Council in 2025. Daryl is also an affiliate at the Center for Socially Responsible Artificial Intelligence.

Dongjin LEE

이동진

서울대학교 교수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이동진 교수는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서, 민법, 데이터법, 의료법 등을 연구, 강의해왔습니다. 이동진 교수는 현재 법무부 민법개정위원회 위원, UNCITRAL WG4 정부 대표를 비롯한 다수의 정부 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고, 다수의 정부 부처와 기업, 대법원에 자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essor Dongjin Lee is a Professor in the School of Law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pecializing in civil law, data law, and health law. He currently serves as a member of the Civil Code Amendment Committee under the Ministry of Justice, and as the government delegate to UNCITRAL Working Group IV, among others. Also, he provides expert consultation to multiple government agencies, corporations, and the Supreme Court.

Eun-Ju LEE

이은주

서울대학교 교수, CTAI 센터장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cation & Director of the Center for Trustworthy AI (CTAI), SNU

이은주 교수는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교수로서, 최근 연구로는 사람들이 언제 그리고 어떠한 이유로 허위정보에 속게 되는지, 조작된 정보에 어떻게 맞서 대응해야 하는지, 나아가 AI와 같은 기술 발전이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은주 교수는 국제 학술지 Media Psychology 공동편집위원장(2014-2015)을 거쳐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편집위원장(2017-2020)을 역임하였으며, 2019년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ICA) 석학회원(Fellow)으로 선정되어 ICA 회장(2023-2024)을 역임하였습니다. 이은주 교수는 서울대학교 학사·석사 및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Eun-Ju Lee is a Professor of Communi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er recent work addresses when and why people fall for misinformation and how to combat false information, as well as how technological advancements, most notably artificial intelligence (AI), alter communication processes and effects. She has co-edited Media Psychology (2014-2015) and served as the Editor-in-Chief of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017-2020). She was inducted as a Fellow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ICA) in 2019 and has served as its President (2023-2024). She received her PhD from Stanford University and her BA and MA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Eunice HUANG

구글 아시아태평양 AI 및 신기술 정책 총괄

Head of AI and Emerging Tech Policy, Asia-Pacific Google

Eunice Huang은 구글의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 AI 및 신기술 정책 총괄을 맡고 있습니다. Eunice는 각국 정부 및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여, 전략적 정책 및 규제 프레임워크를 통해 AI의 책임 있는 개발과 활용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구글의 APAC 디지털 무역 전략을 총괄했으며, 세계무역기구(WTO)에서 국제 무역 정책을 설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바 있습니다. 전직 외교관이자 무역 협상가였던 Eunice는 민간 부문으로 전향하기 전, 싱가포르 정부 행정서비스(Administrative Service) 리더십 프로그램의 일원으로 활동했습니다. 외교, 에너지, 무역, 투자 등 다양한 정책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았으며, 세계무역기구(WTO) 및 세계지식재산기구(WIPO)에서 싱가포르 부대사, 싱가포르 경제개발청(EDB) 지역 부사장 등 고위 외교직을 역임했습니다.
Eunice Huang spearheads Google’s policy initiatives regar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merging technologies across the Asia-Pacific (APAC) region. Eunice engages with governments and key stakeholders to foster responsible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AI through strategic policy and regulatory frameworks. Previously, shedirected Google’s digital trade strategy in APAC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shaping international trade policies at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A former diplomat and trade negotiator, Eunice was a member of the Singapore Government’s Administrative Service leadership scheme before transitioning to the private sector. Her extensive experience spans diverse policy domains, including foreign affairs, energy, trade, and investment. She has held senior diplomatic appointments, including serving as Singapore’s Deputy Ambassador to the WTO and WIPO, and as Regional Vice President of the Singapore Economic Development Board.

Geun LEE

이근

서울대학교 교수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이근 교수(미국 위스콘신 주립대, 매디슨 소재, 정치학 박사)는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국제관계 및 외교안보 분야에서 다양한 학술 및 정책 활동을 수행해왔습니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정책전문위원과 한국미래전략연구원 원장을 역임하며 주요 외교안보 전략 수립에 기여했으며, 일본 규슈대학교, 도쿄 국립정책연구대학원대학(GRIPS), 고베대학교, 케이오 대학교 등에서 초빙교수로 활동하며 국제질서와 외교정책 관련 연구를 지속해왔습니다.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장, 국제대학원 부원장, 국제협력본부장을 역임하며 학내 국제협력을 선도했으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는 외교부 산하 공공외교 전문기관인 한국국제교류재단(KF) 이사장으로서 한국의 대외문화외교를 주도했습니다. 또한 한국 유엔협회 자문교수, 세계 경제포럼(다보스포럼) 한국협의회 의장을 맡아 20여 년 동안 외교와 국제교류분야에서 활발한 연구와 정책 제언활동을 해왔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정치경제, 소프트파워, 테크놀로지와 국제질서, 공공외교 등입니다.

Geun Lee (Ph.D. in Political Scienc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is a Professor at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G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Geun has over two decades of experienc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foreign policy, combining academic research with high-level policy advising. He previously served as a Policy Specialist for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NSC) and President of the Korea Institute for Future Strategies, and held visiting professorships at Kyushu University, GRIPS in Tokyo, Kobe University and Keio Universit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has served as Director of the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Associate Dean of GSIS, and Vice President for International Affairs. From 2019 to 2022, he was President of the Korea Foundation (KF), coordinating Korea’s public diplomacy around the world. He has also served as Advisory Professor to the United Nations Association of Korea and Chair of the Korean Council of the World Economic Forum (Davos Forum). His research areas includ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soft power, technology & global order, and public diplomacy.

Henry SHEVLIN

케임브리지대학교 레버흘룸 미래지능센터 부소장

Associate Director, Leverhulme Centre for the Future of Intelligence, University of Cambridge

Henry Shevlin 교수는 케임브리지대학교 산하 Leverhulme Centre for the Future of Intelligence의 부소장이며, ‘Kinds of Intelligence’ 프로그램의 공동 책임자입니다. 인지과학 철학자이자 AI 윤리학자인 그는 인간이 아닌 존재의 의식과 지능에 관한 다양한 주제를 연구해왔으며, 의식의 측정, 도덕적 수용성, 행복과 복지, 창의적 지능, 인간 중심적 사고와 민속심리학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Henry Shevlin is the Associate Director of the Leverhulme Centre for the Future of Intelligence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where he also serves as co-director for the Kinds of Intelligence programme. A philosopher of cognitive science and an AI ethicist, his research explores a range of themes connected to non-human consciousness and intelligence, including measurement of consciousness, moral patiency, well-being and welfare, creative intelligence, and anthropomorphism and folk psychology.

Hyundeuk CHEON

천현득

서울대학교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천현득 교수는 과학의 발전을 철학적으로 성찰하는 한편, 성찰된 과학적 성취를 바탕으로 철학을 확장하는 데 관심을 가진 과학철학자입니다. 최근에는 AI의 철학적, 윤리적 쟁점들에 관심을 갖고 감정, 이해, 설명가능성, 투명성 등에 관해 연구해오고 있습니다. 이화여대 인문과학원을 거쳐, 2018년 서울대 철학과에 부임했고, 2022년 신설 과학학과로 옮겼습니다. 이후 서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연구원, 피츠버그대학교 과학철학센터 객원펠로우, 런던정경대학교 방문연구원을 역임했고, 2020년 서울대학교 창의선도 신진연구자로 선정됨과 함께 제5회 암곡학술상을 받았습니다. 현재 서울대학교 AI연구원 인공지능 ELSI센터의 센터장과 한국과학철학회 <과학철학>의 편집인을 맡고 있습니다. 천현득 교수는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과학철학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Hyundeuk Cheon is a philosopher of science interested in both the philosophical reflection on scientific advancement and the expansion of philosophical inquiry grounded in reflective scientific achievements. Hyundeuk’s recent research focuses on the philosophical and ethical issues surrou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emotion, understanding, explainability, and transparency in AI. He received his B.S. in Physic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earned his M.A. and Ph.D. in Philosophy of Science from the same institution. After serving at the Ewha Institute for the Humanities, he joined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2018 and moved to the newly established Department of Science Studies in 2022. He has been a research fellow at the SNU Institute for Cognitive Science, a visiting fellow at the Center for Philosophy of Science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and a visiting researcher at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In 2020, Hyundeuk was named an SNU Junior Fellow for Creative Research and received the 5th Amgok Academic Award. He currently serves as the Director of the Center for Ethical, Legal, and Social Issues in AI (ELSI) at SNU and as the editor of The Korean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KJPS),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Insoo OH

오인수

넷마블 개발센터 센터장

Division Director, Development Center, Netmarble

오인수 센터장은 사람과 자연스러운 인터랙션이 이루어지는 가상공간에 관심을 두고, 가상 디지털 팩토리 및 3D 시뮬레이션 구현 기술을 꾸준히 연구해왔습니다. 2002년부터 현재까지 20년 넘게 게임 업계에 종사하며 선도적인 기술 개발을 이끌어왔으며, 마구마구, 킹오파 등 고품질 게임에 유저와 게임 객체 간 상호 인터랙션 처리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AI 기술을 성공적으로 적용했습니다. 현재는 넷마블 개발센터장으로서 빠르게 진화하는 AI 기술을 게임 제작 과정과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 전반에 폭넓게 도입하고, 확산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Insoo Oh is passionate about creating virtual spaces that enable natural human interaction, and he has consistently researched virtual digital factory and 3D simulation implementation technologies. With over 20 years of experience in the game industry since 2002, he has led the development of cutting-edge technologies. He successfully applied AI technology to support user-game object interaction processing and decision-making in high-quality games like MaguMagu and King of Fighters. Currently, as the Head of Netmarble’s Development Center, he’s leading the broad adoption and expansion of rapidly evolving AI technologies across game production processes and supporting service platforms.

Jaeho MOON

문재호

공정거래위원회 국장

Director General, Korea Fair Trade Commission

문재호 국장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위법한 공동행위에 대한 조사를 담당하는 카르텔조사국장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1999년부터 공정거래위원회에 근무하고 있으며 국제협력과장, 카르텔총괄과장, 유통정책관, 대변인 등을 역임하였습니다.
Jaeho Moon currently serves as Director General of Cartel Investigation Bureau at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KFTC), overseeing investigations into unlawful collusive practices. Since joining the Commission in 1999, he has held various key positions, including Director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Division, Director of Cartel General Affairs, Director of Distribution Policy Division, and Spokesperson for KFTC.

Janet NAPOLITANO

UC 버클리 교수, 전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

Professor, U.C. Berkeley; former Secretary of Homeland Security, United States of America

Janet Napolitano 교수는 UC 버클리 골드먼 공공정책대학원의 교수이자, UC 버클리 안보 및 거버넌스 연구소(Institute for Security and Governance)의 설립자입니다. Napolitano 교수는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 애리조나주 주지사, 애리조나주 법무장관, 애리조나주 연방검사로 재직했습니다. 국토안보부 장관 시절, Napolitano 교수는 테러 공격 방지, 국경 보안 강화, 자연재해 대응, 국내 회복력 제고를 위한 국가적 노력을 이끌었으며, 국토안보부 최초의 여성 장관이자 최장수 장관으로 기록됩니다.
Janet Napolitano is a Professor at the Goldman School of Public Policy and founder of the Institute for Security and Governance at UC Berkeley. She previously served as the president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2013–2020), US Secretary of Homeland Security(2009–2013), Governor of Arizona, Attorney General of Arizona, and US Attorney for the District of Arizona. As Secretary, she led the nation’s efforts to prevent terrorist attacks, secure its borders, respond to natural disasters, and build domestic resiliency. She was the first woman and remains the longest-serving Secretary of Homeland Security.

Jonggu JEONG

전종구

(주)젠아이피 대표, SAPI 연구원

CEO, GenIP; Researcher, SNU AI Policy Initiative

정종구 박사는 주식회사 젠아이피 대표이사이자 법무법인 로반의 대표 변호사입니다. 기술과 법의 융합을 추구하는 전문가로, 인공지능과 법의 접목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인공지능법학회 정보이사, 서울대학교 인공지능정책이니셔티브 연구원 및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강사로서 실천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과거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지원실장, 법무법인(유)로고스 파트너 변호사, 한양대학교·가천대학교 겸임교수, 연세대학교 강사를 역임했습니다.
Jonggu Jeong is the Chief Executive Officer of GenIP Inc. and the Lead Attorney at Lawbahn Law Firm. As a specialist dedicated to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law, he focuses on creating social value through the integration of AI and legal practice. He also conducts applied research as the Information Director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aw, as a researcher with the AI Policy Initiativ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s a lecturer in th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viously, he served as Director of Educational Suppor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Law, was a Partner Attorney at Logos Law Firm, and held adjunct professorships at Hanyang University and Gachon University, as well as a lecturing position at Yonsei University.

Joseph HARRINGTON

펜실베니아대학교 와튼스쿨 교수

Patrick T. Harker Professor, The Wharton School, University of Pennsylvania

Joseph Harrington 교수는 펜실베니아대학교 와튼스쿨 Patrick T. Harker 교수입니다. Harrington교수는 담합과 카르텔(collusion and cartels)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평가받으며, 최근에는 알고리즘이 시장 경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Harrington교수는 Industrial Organization Society 회장을 역임했으며, 해당 분야의 주요 학술지 편집위원으로 활동해 왔습니다. 대표 저서로는 Economics of Regulation and Antitrust의 공저자이며, The Theory of Collusion and Competition Policy의 저자, 그리고 최근 출간된 Cartels Diagnosed: New Insights on Collusion의 공동 편집자입니다.

Joseph Harrington is the Patrick T. Harker Professor at The Wharton Schoo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Joseph is considered one of the world’s leading authorities on collusion and cartels, and his recent research has focused on how algorithms affect market competition. He has served as President of the Industrial Organization Society and been on the editorial boards of all the top journals in his field. He is a co-author of the leading textbook Economics of Regulation and Antitrust, the author of The Theory of Collusion and Competition Policy, and a co-editor for the recently released Cartels Diagnosed: New Insights on Collusion.

June Sig SUNG

성준식

크래프톤 AI Interactive Agent 실장

Head of AI Interactive Agent Dept., Krafton

성준식 실장은 2023년 크래프톤 응용 딥러닝실 실장으로 재직, 현재는 AI Interactive Agent 실장을 맡고 있으며 AI 제작혁신 실장과 AI 서비스 실장을 겸임하고 있습니다. 성준식 실장은 2012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후,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에서 AI 기술 개발을 선도했고, S보이스와 빅스비 보이스의 개발에 핵심적으로 참여하며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의 상용화를 이끌었습니다.
June Sig Sung served as Head of Applied Deep Learning at KRAFTON in 2023 and currently leads the AI Interactive Agent, while concurrently overseeing both the AI Production Innovation and AI Service. After earning his Ph.D.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2012, June Sig joined the AI Team within the Mobile Communications Business at Samsung Electronics, where he worked from 2013 to 2022. He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S Voice and Bixby Voice, contributing to the commercialization of voice-based interfaces.

Justin (Gus) HURWITZ

펜실베니아대학교 CTIC 학술 디렉터

Academic Director, CTIC, University of Pennsylvania

Justin Gus Hurwitz 소장은 법학, 경제학, 컴퓨터과학을 기반으로 기술이 법적, 경제적, 사회적 제도를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연구합니다. 연구의 주요 초점은 규제 기관이 급변하는 기술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와 그러한 대응 과정에서 규제 기관이 직면하는 한계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사회적 및 정치적 가치에 부합하는 기술을 설계하여 규제 개입의 필요성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Hurwitz 소장은 독점규제, 규제, 통신 법 및 정책, 사이버 보안, 언론 및 미디어 규제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한 논문과 책을 출간했습니다.

Justin Gus Hurwitz’s work draws from law, economics, and computer science to study how technology orders legal, economic, and social institutions. A principal focus of this work is understanding how regulatory institutions respond to disruptive technologies and the limitations that regulators face in such responses. Recently, Justin is focusing on how to design technologies to be aligned with social and political values, in order to minimize the need for regulatory intervention. He has published articles and books on topics including antitrust, regulation, communications law and policy, cybersecurity, and speech and media regulation.

Kyoungjin CHOI

최경진

가천대학교 교수, 한국인공지능법학회 학회장

President, Korean Associ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Law; Professor, Gachon University

최경진 교수는 가천대학교 법학 교수이자, 인공지능·빅데이터 정책연구센터 센터장입니다. 인공지능, 데이터, 개인정보 보호 분야에서 오랜 학술 연구와 실무 경험을 가진 대표적인 전문가로서, 2023년 전면 개정된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연구위원장과 개인정보보호법학회(PIPLA) 회장을 역임했습니다. 최근 출판물로는 《인공지능법》(2024),《개인정보 보호법》(2024), 《개인정보 판례 100선》(2022)이 있습니다.

Kyoungjin Choi is a Professor of Law and Director of the Center for AI·Data and Policy at Gachon University. As a representative expert with extensive academic research and practical experience in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and privacy, he served as Chairman of the Drafting Committee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hich was fully revised in 2023, and as Presiden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ssociation (PIPLA). His recent publications are Artificial Intelligence Law(2024),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2024), and 100 Selections of Personal Data Precedents(2022).

Masako WAKUI

교토대학교 교수

Professor, Kyoto University

Masako Wakui 교수는 교토대학교 법학대학원 교수이자, 영국 뉴캐슬대학교 방문학자입니다. 이전에는 일본 오사카시립대학교와 릿쿄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한 바 있습니다. Wakui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는 경쟁법과 경쟁정책이며, 이와 관련된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출판했습니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일본 공정거래위원회(JFTC) 산하 경쟁정책연구센터에서 수석연구원을 지냈고, 2018년부터 현재까지는 방문연구원으로 활동 중입니다. 또한 2023년부터 일본 경제산업성 디지털 플랫폼의 투명성과 공정성 제고를 위한 모니터링 회의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JFTC와 기타 정부 기관의 다양한 자문 및 연구 위원회에서도 활약해 왔습니다. Wakui 교수는 일본경제법학회 이사이자, 경쟁법학술단체(ASCOL, Academic Society for Competition Law) 아시아 지부 공동대표를 맡고 있습니다. 

Masako Wakui is a Professor at the Graduate School of Law, Kyoto University, and a visiting scholar at Newcastle University, UK. Masako has previously taught at Osaka City University and Rikkyo University. Her fields are competition law and policy, and she has published books and articles on these subjects. She has served as a chief researcher (2016-18) and visiting researcher (2018-present) for the Japan Fair Trade Commission (JFTC) Competition Policy Research Centre, as a member of the Monitoring Meeting of Improving Transparency and Fairness of Digital Platforms,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2023-present), and various other advisory and study groups at the JFTC and other administrative bodies. She is also a board member of the Japan Association of Economic Law and the co-head of the Asian Chapter of the Academic Society for Competition Law.

Myuhng Joo KIM

김명주

인공지능안전연구소(AISI) 소장

Executive Director, AI Safety Institute, Republic of Korea

김명주 소장은 2024년 11월에 설립된 한국 인공지능안전연구소 초대 소장입니다. 컴퓨터공학을 전공했지만 사이버보안과 디지털윤리에 오랫 동안 헌신해왔습니다. 1995년부터 소장이 되기 직전까지 서울여자대학교 지능정보보호학부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2022년『AI는 양심이 없다』라는 책을 통해 일반인과 개발자, 사업자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윤리를 소개했습니다. 한국 최초의 인공지능 윤리 가이드라인 를 개발하여 정보문화 유공자로 근정포장을 수상했습니다. 현재 OECD GPAI(AI 글로벌 파트너십)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IAAE) 회장, 한국저작권위원회 부위원장을 맡고 있습니다.
Myuhng-Joo Kim is the founding executive director of the Korea AI Safety Institute (AISI), established in November 2024. Although he majored in computer engineering, he has long been dedicated to the fields of cybersecurity and digital ethics. From 1995 until his appointment as executive director of Korea AISI, he served as a professor in the School of Intelligent Information Security at Seoul Women’s University. In 2022, he published the book “AI Has No Conscience”, introducing AI ethics for the general public, developers, and business operators alike. He also developed Korea’s first AI ethics guideline, the Seoul PACT, and received the Order of Service Merit for his contributions to information culture. He currently serves as an expert for the OECD’s Global Partnership on AI (GPAI), 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AI Ethics (IAAE), and vice president of the Korea Copyright Commission.

Nicholson PRICE

미시간대학교 교수

Professor, Michigan University

Nicholson Price 교수는 바이오메디컬 혁신, 특히 의료 AI 분야에서 법규제적 영향을 연구하고 있으며, 특허법, 보건법, 생명과학과 혁신, AI와 법, 공상과학과 법 등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Price 교수는 미국 컬럼비아 대학에서 생물학 및 법학 박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Nicholson Price studies how law shapes biomedical innovation, especially medical AI. He teaches patents, health law, innovation in the life sciences, AI and the law, and science fiction and the law. He holds a PhD in Biological Sciences and a JD, both from Columbia, and an AB from Harvard.

Pil Ho KIM

김필호

포스코 DX 고문

Advisor (Senior VP), POSCO DX

김필호 포스코DX 고문은 미국과 유럽에서 15년간 인간 지능의 형식지화 기술을 연구하였으며, Amazon Web Services (AWS)에서 머신러닝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서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의 AI 기술 지원을 총괄했습니다. 이후 삼성디스플레이 AI 팀장 및 포스코홀딩스 Manufacturing AI 센터장과 포스코DX의 AI 담당으로 대기업 제조분야의 AI기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한 경험도 갖추고 있습니다. 미국 조지아 공과대학교 (Georgia Tech)에서 전자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유럽연합 (EU)의 Marie Curie Fellow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Pil-Ho Kim is a distinguished AI expert and an Advisor at POSCO DX, with a proven track record of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Pil-Ho has led AI initiatives at top Korean conglomerates, including roles as Head of the AI Team at Samsung Display, Head of the Manufacturing AI Center at POSCO Holdings, and Head of AI at POSCO DX. His industry leadership is backed by his experience as a global leader in machine learning at AWS, overseeing the APAC region, and 15 years of foundational research on the formalization of human intelligence. Pil-Ho earned his Ph.D. in ECE from Georgia Tech and was honored as an EU Marie Curie Fellow.

Sangok SEOK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

CEO, NAVER LABS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로봇, AI, 자율주행, 디지털 트윈 등의 융합을 통해 네이버의 차세대 기술 플랫폼 연구를 이끌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에서 학사와 석사, MIT에서 기계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박사 과정 중 발표한 ‘MIT Cheetah’ 논문으로 2016년 IEEE/ASME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습니다. 석상옥 대표는 내셔널 인스트루먼트와 삼성전자를 거쳐 2015년 네이버에 합류, 국내외 60여 건의 로봇 특허를 출원하며 로보틱스 분야를 이끌었습니다. 2019년 네이버랩스 대표, 2020년 네이버랩스 유럽 대표로 취임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진과 함께 사람·머신·공간·정보를 연결할 앞선 기술로 네이버의 미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2022년 네이버 제2사옥을 세계 최초 로봇 친화형 빌딩으로 만든 ‘1784 프로젝트’를 통해 전 세계 기업·미디어·연구단체의 주목을 받았으며, 국내 최초 5G 특화망 구축 등의 공로로 동탑산업훈장을 수상했습니다. 2023년 한국공학한림원 최고경영인평의회 부의장에 선임되었고, 2024년에는 독창적인 로봇 플랫폼으로 국내외 로봇 서비스 산업발전에 기여한 바를 인정받아 한국로봇학회 기술상을 수상했습니다.
Sangok Seok, CEO of NAVER LABS, is leading NAVER’s next-generation technology platform research through the integration of robotics, AI, autonomous driving, digital twin, etc. Holding a bachelor’s and master’s degree in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 doctorate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is research paper on the MIT Cheetah was selected as the best paper at IEEE/ASME in 2016. After working in National Instruments and Samsung Electronics, Sangok joined NAVER in 2015, spearheading NAVER’s robotics field and filing over 60 robot-related patents. Since becoming the CEO of both NAVER LABS (in 2019) and NAVER LABS Europe (in 2020), he has been leading world-class researchers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NAVER with advanced technologies that connect people, machines, space, and information. In 2022, he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international corporations · media · research institutions for the “1784 Project,” under which NAVER’s second headquarters was constructed as the world’s first robot-friendly building. With recognition for the first domestic installation of local 5G networks, he was awarded the Bronze Tower Order of Industrial Service Merit. In 2023, Sangok was appointed as vice chair of the Business Executive Council at 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of Korea, and in 2024, he has been awarded the Academic Award, Technology Sector from the Korea Robotics Society(KROS) in recognition of the innovative robot platform’s contribution to the global robot service industry.

Sangchul PARK

박상철

서울대학교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박상철 교수는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부교수로, 연합전공 인공지능 과정과 수리정보과학과 교수로도 재직하고 있습니다. 박상철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는 AI 관련 사회적 위해를 통제하기 위한 법적 메커니즘과 정보기술을 활용한 법의 체계화입니다. 2020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하기 전에는 김·장 법률사무소에서 13년 동안 기술, 미디어 및 통신(TMT) 분야에서 광범위한 법무 경험을 쌓았습니다. 박상철 교수는 미국 시카고 대학교 법학대학원에서 법학박사(JSD) 학위를 취득했으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Sangchul Park is an Associate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School of Law, holding joint appointments within the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AI and the Department of Mathematical Information Science at SNU. Sangchul’s primary research focus centers on legal mechanisms for controlling AI-related societal harm and leveraging information technology to systematize the law. Prior to joining SNU in 2020, he gained extensive legal experience in the area and technology, media, and telecommunications during his thirteen-year tenure at the Kim & Chang law offices. Sangchul earned his doctoral degree (JSD) from the University of Chicago Law School and holds a bachelor’s degree from SNU School of Law.

Sayash KAPOOR

프린스턴대학교 펠로우

Fellow, Princeton University

Sayash Kapoor는 Mozilla 시니어 펠로우 및 프린스턴대학교 Center for Human Values의 펠로우이며, 프린스턴대학교 Center for Information Technology Policy에서 컴퓨터공학 박사과정 중에 있습니다. 2024년 Nature 선정 ‘올해의 책 10선’에 오른『AI Snake Oil』의 공동 저자이며, 동명의 뉴스레터는 전 세계 5만 명 이상의 AI 연구자, 정책입안자, 저널리스트 및 AI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 읽히고 있습니다. Sayash의 연구는 Science, PNAS 등의 국제 학술지에 게재되었으며, The Wall Street Journal, WIRED 등의 주요 언론에 기고한 바 있습니다. 또한 그의 연구결과는 The New York Times, The Atlantic, Washington Post, Bloomberg 등 유수의 매체에도 소개되었습니다. 한편 ACM FAccT 최우수 논문상, ACM CSCW 영향력 인정 논문상 등 다양한 상을 수상했으며, TIME이 선정한 ‘AI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포함되기도 했습니다.
Sayash Kapoor is a Senior Fellow at Mozilla, a Laurance S. Rockefeller Fellow in the Princeton University Center for Human Values, and a computer science Ph.D. candidate at Princeton University’s Center for Information Technology Policy. He is a co-author of AI Snake Oil, one of Nature’s 10 best books of 2024. His newsletter by the same name is read by over 50,000 AI enthusiasts, researchers, policymakers, and journalists. His work has been published in leading scientific journals such as Science and PNAS. He has written for mainstream outlets including The Wall Street Journal and WIRED and his work has been featured in The New York Times, The Atlantic, Washington Post, Bloomberg, and many others. Kapoor has been recognized with various awards, including a best paper award at ACM FAccT, an impact recognition award at ACM CSCW, and inclusion in TIME’s inaugural list of the 100 most influential people in AI.

Shao-Man LEE

국립쳉쿵대학교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Shao-Man Lee 교수는 국립쳉쿵대학교(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NCKU) Miin Wu School of Computing의 조교수로, 심리학과 겸임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Lee교수의 연구는 문화적으로 공정한 법률 AI 시스템 개발, 법률 분석을 위한 계산적 접근법, 책임 있는 AI 개발을 위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Lee교수는 국제공법학회 대만 지부(International Society of Public Law Taiwan Chapter)의 사무총장을 맡고 있으며, 대만변호사협회 AI 개발 및 대응 위원회의 자문위원으로도 활동 중입니다. 최근에는 대만 법무부의 ‘검찰 AI 보조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이끌었습니다. Lee교수는 국립대만대학교 법대를 졸업하고, 예일 로스쿨에서 법학석사(LL.M.), UC 버클리에서 법학박사(J.S.D.)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Shao-Man Lee i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Miin Wu School of Computing at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NCKU), with a joint appointment in the Department of Psychology. Shao-Man’s research focuses on developing culturally fair legal AI systems, computational approaches to legal analysis, and governance frameworks for responsible AI development. Shao-Man serves as Executive Secretary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Public Law Taiwan Chapter and as an advisor to the Taiwan Bar Association’s AI Development and Response Committee. She recently led the Ministry of Justice’s Prosecutorial AI Assistance System project. Shao-Man graduated from National Taiwan University College of Law and obtained her LL.M. from Yale Law School and her J.S.D.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Shun-Ling CHEN

대만 중앙연구원 연구부교수

Associate Research Professor, Institutum Iurisprudentiae, Academia Sinica (IIAS), Taiwan

Shun-Ling Chen 교수는 대만 중앙연구원 Institutum Iurisprudentiae, Academia Sinica (IIAS)의 연구부교수이며, Information Law Center의 공동 소장을 맡고 있습니다. IIAS에 합류하기 전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James E. Rogers College of Law에서 강의했습니다. Chen교수는 하버드 로스쿨에서 법학박사(S.J.D.) 학위를 취득했으며, 온라인 협업 및 시빅테크(civic tech) 커뮤니티와 긴밀히 협업해왔습니다. 법학과 과학기술학(STS)을 함께 수학한 배경을 바탕으로, 저작권,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 동료 생산(peer production), 시민 과학, 커뮤니티 거버넌스, 플랫폼 거버넌스, 인터넷 거버넌스, 데이터 거버넌스 등 다양한 주제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Shun-Ling Chen is an Associate Research Professor at Institutum Iurisprudentiae Academia Sinica (IIAS). She also co-directs the Information Law Center at IIAS. Prior to joining IIAS, she taught in the University of Arizona James E. Rogers College of Law. Shun-Ling holds an S.J.D. from Harvard Law School. She has worked closely with online collaboration and civic tech communities. Trained in both Law and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her research interest include copyright, privacy, free speech, peer production, citizen science, community governance, platform governance, internet governance and data governance.

Soohyung LEE

이수형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서울대학교 교수

Monetary Policy Board, Bank of Korea;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이수형 교수는 2024년 4월부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으로 재직 중입니다.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경제학 박사인 이수형 교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응용계량경제학을 전공했으며, 인공지능 등 기술과 국가 정책이 개인과 시장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주요 연구주제로 삼고 있습니다. 이수형 교수는 한미경제학회, 한국경제학회, 한국경제신문 등으로부터 우수연구자 상을 수상하였으며, 국제기구와 한국정부에 연구자문을 수행한 바 있습니다. 이수형 교수의 연구 논문들은 Wall Street Journal, CNBC, Nikkei Asia 등 해외 주요 언론에 비중 있게 소개되었으며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Soohyung Lee is currently a member of the Monetary Policy Board at the Bank of Korea (BOK), while on leav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Prior to her appointment at the BOK, she served as a Deputy Director at Korea’s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d later earned a Ph.D. in Economics from Stanford University. Following her doctoral studies, Soohyung held a faculty position at the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was a research fellow at Harvard Business School, and served as an external consultant to the World Bank, the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and various Korean government agencies. Her research focuses on data-driven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individuals and markets, including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Her work lies at the intersection of econometrics, labor economics, and market design, and has been cited by renowned international media outlets, including The Wall Street Journal, CNBC, and Nikkei Asia. Additional information is available at www.soohyunglee.com.

Soonmin BAE

배순민

KT AI Future Lab 소장, CRAIO

Head of AI Future Lab & CRAIO, KT

배순민 Lab장은 KT AI Future Lab을 이끄는 CRAIO(Chief Responsible AI Officer)입니다. MIT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 취득 후 삼성테크윈 로봇사업부 AI 개발팀장, 네이버 클로바 AI 리더를 거쳐 2021년부터 KT에 합류했습니다. 배순민 Lab장은 현재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위원,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국내외 위원회에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공학한림원 컴퓨팅분과 정회원으로 영향력과 전문성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Soonmin Bae is the Chief Responsible AI Officer (CRAIO) leading the KT AI Future Lab. After earning her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from MIT, Soonmin held key positions in AI development, including Head of the AI Team at Samsung Techwin’s Robotics Division and Leader of Naver Clova AI, before joining KT in 2021. Soonmin currently serves as a member of the Public Data Strategy Committee, participates in various national and international advisory bodies such a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is a full member of 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of Korea’s Computing Division, reflecting her influence and expertise in the field.

Stephan SONNENBERG

웨슬리언대학교 실무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of Practice, Wesleyan University

Stephan Sonnenberg 교수는 미국 코네티컷주 미들타운에 위치한 웨슬리언대학교에서 실무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권 부전공(Human Rights Minor) 프로그램 책임자를 맡고 있습니다. Sonnenberg 교수는 올해 6월 미국으로 돌아오기 전까지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부교수로 5년간 재직하며 Human Dignity Clinic 및 Difficult Conversations Clinic을 운영하였습니다. 이전에는 하버드와 스탠퍼드 로스쿨에서 가르친 바 있으며, 부탄의 유일한 로스쿨에서도 임상 및 실무 교육 부학장(Associate Dean of Experiential and Clinical Legal Education)으로 활동한 경력이 있습니다. Sonnenberg 교수의 연구와 교육은 인권, 개발, 분쟁 해결의 교차점에 집중되어 있으며, 최근 AI 및 신기술 분야로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또한 20개국 이상의 다양한 인권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해왔으며, 현재는 기술과 인권, 전환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 그리고 기후변화로 인한 이주 문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Sonnenberg교수는 하버드 로스쿨에서 법학 박사(JD), 플레처 스쿨(Fletcher School)에서 법과 외교 석사(MA), 브라운대학교에서 학사 학위(BA)를 취득했습니다.

Stephan Sonnenberg is an Associate Professor of Practice and Director of the Human Rights Minor at Wesleyan University in Middletown, Connecticut. Stephan is a new transplant to the United States, having lef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June of this year after spending five wonderful years directing the Human Dignity and Difficult Conversations Clinics at SNU School of Law. He also previously taught at Harvard and Stanford Law Schools, as well as at Bhutan’s only law school where he served as Associate Dean of Experiential and Clinical Legal Education. His academic and clinical work focuses on the intersection of human rights, development, and dispute resolution, and increasingly has also pulled him into the world of AI and new and emerging technologies. He has worked on human rights issues in upwards of 20 countries and a variety of contexts. Much of his current work focuses on human rights and technology, transitional justice, and migration caused by climate change. Stephan holds a JD from Harvard Law School, a MA in Law and Diplomacy from the Fletcher School, and a BA from Brown University.

Sungroh YOON

윤성로

서울대학교 교수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윤성로 교수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와 협동과정 인공지능 전공의 정교수로 재직 중이며, 2019년에서 2021년까지 공과대학 부학장을 역임했습니다. 윤성로 교수는 서울대학교 인공지능 연구실(Data Science and AI Lab)을 이끌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AI연구원의 기획대외협력부장도 맡고 있습니다. 윤성로 교수의 최근 연구 분야는 생성형 AI와 에이전트 AI, 피지컬 AI 및 일반인공지능(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입니다. 윤성로 교수는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공학박사와 공학석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서울대학교 부임 이전에는 고려대학교 교수와 미국 인텔의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였습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입니다.
Sungroh Yoon is a Professor of Electrical & Computer Engineer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where he served as Associate Dean of Student Affairs 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from 2019 to 2021. He is leading the SNU Data Science and AI Laboratory (DSAIL) and is also the Director of Planning and External Affairs at SNU AI Institute. His recent research areas include generative AI, agentic AI, physical AI, and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 Prof. Yoon received his B.S. degree from SNU and his M.S. and Ph.D. degrees from Stanford University, USA. Prior to joining SNU, he was an Assistant Professor at Korea University and also held a Senior Engineer position at Intel Corporation, USA. From 2020 to 2022, he served as Chairperson of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ofessor Yoon is a Member of the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of Korea.

Trevor QUICK

Harvey 매니저

Manager, Harvey

Trevor Quick은 Skadden, Arps, Slate, Meagher & Flom LLP에서 자본시장법 및 M&A 분야 소속변호사로 재직하였으며, 현재 소속된 Harvey의 Strategic Business Development Team 창립 멤버입니다. 30명 이상의 전직 변호사들로 구성된 팀에서 Trevor는 사용자들이 Harvey의 기능과 장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각 조직에 맞는 구체적인 활용 사례와 워크 플로우를 개발하며, 성공적인 활용 사례를 다시 플랫폼에 통합하여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가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Trevor Quick is a former Associate at Skadden, Arps, Slate, Meagher & Flom LLP whose practice centered around Capital Markets and M&A and a founding member of Harvey’s Strategic Business Development team. Composed of over 30 former practicing attorneys, Trevor and the team help users better understand Harvey’s offerings, develop specific use cases and workflows for the organizations they work with, and help integrate their successes onto the platform for a flywheel of efficiency gains.

Yong LIM

임용

서울대학교 부교수, SAPI 디렉터

Associate Professor & Director, SNU AI Policy Initiative

임용 교수는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2020년까지 학생부원장을 역임했습니다. 임용 교수는 서울대학교 인공지능정책 이니셔티브(SAPI)의 공동 창립자이자 디렉터입니다. SAPI는 현재 서울대학교 인공지능신뢰성연구센터(CTAI)가 진행하고 있는 AI의 규범적 및 기술적 표준을 수립하는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는 연구실 중 하나입니다. 임용 교수의 전문 분야는 경쟁법, 소비자 보호,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거버넌스입니다. 임용 교수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 로스쿨에서 법학박사(S.J.D.)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서울대학교에 부임하기 전에는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로 재직하였으며, 2023년에는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펜 케리 법학대학원(Penn Carey Law)의 Bok International Professor로 재직했습니다.
Yong Lim is an Associate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School of Law, where he also served as Associate Dean of Student Affairs until 2020. He is the co-founder and director of SNU AI Policy Initiative (“SAPI”). SAPI is one of the labs currently spearheading a project at SNU’s Center for Trustworthy AI to establish normative and technical standards for AI. His areas of specialty include competition law, consumer protection, privacy and data governance. Yong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Law, and obtained his S.J.D. at Harvard Law School. Prior to joining academia, Yong practiced law at Kim & Chang in Seoul, Korea. Yong was a Bok International Professor at Penn Carey Law in 2023.

Yong Suk LEE

이용석

노터데임대학교 교수

Professor, Notre Dame University

이용석 교수는 미국 노터데임대학교 Keough School of Global Affairs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기술, 경제, 글로벌 이슈를 전공하고 있습니다. 이용석 교수는 미래 노동 연구소(Future of Labor Lab)의 설립자이자 소장이며, 윤리 및 공동선 연구소(Institute for Ethics and the Common Good)에서 기술윤리 프로그램 책임자(Program Chair)를 맡고 있습니다. 이 교수의 연구는 기술과 노동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며, AI와 로봇 기술이 노동시장과 불평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사회가 이러한 신기술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탐구합니다.

Yong Suk Lee is an Associate Professor of Technology, Economy, and Global Affairs at the Keough School of Global Affairs at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Yong Suk is the founder and director of the Future of Labor Lab and also the Technology Ethics Program Chair at the Institute for Ethics and the Common Good. His research examines technology and labor, focusing on how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ics affect labor and inequality, and how society interacts with these new technologies.

Jason KWON

오픈AI 최고전략임원

Chief Strategy Officer, OpenAI

Jason Kwon은 OpenAI의 최고전략임원으로서 정책, 법률, 사회적 영향 연구 팀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Y Combinator Continuity의 법무 최고 책임자, Khosla Ventures의 법무 보조 책임자, Goodwin의 소속변호사로 근무했습니다. 법률가로 일하기 전에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자 제품 매니저로 일했습니다. UC 버클리 로스쿨에서 법학 박사(JD) 학위를 받았고,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Jason Kwon is the Chief Strategy Officer at OpenAI, overseeing policy, legal, and social impact research teams. Previously, he was the General Counsel of Y Combinator Continuity, Assistant General Counsel of Khosla Ventures and an Associate Attorney at Goodwin. He was a software engineer and product manager before practicing law. He has a JD from UC Berkeley Law and a BA from Georgetow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