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nel ii

AI Agents and the Future of Labor

AI 에이전트와 노동의 미래

Moderator

Chul-soo LEE
Chul-soo LEE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Chairman, Korea Polytechnics; Professor Emeritus, Seoul National University

Speakers

Pil Ho KIM
Pil Ho KIM
포스코 DX 고문

Advisor (Senior VP), POSCO DX

Yong Suk LEE
Yong Suk LEE
노터데임대학교 교수

Associate Professor, Notre Dame University

Soohyung LEE
Soohyung LEE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서울대학교 교수

Monetary Policy Board, Bank of Korea;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stephan
Stephan SONNENBERG
웨슬리언대학교 실무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of Practice, Wesleyan University

Chul-soo LEE

이철수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Chairman, Korea Polytechnics; Professor Emeritus, Seoul National University

이철수 교수는 노동법 전공으로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교수로 정년퇴임 후 명예교수로 추대되었고, 현재는 학교법인 한국폴리텍의 이사장으로 재직 중입니다. 한국노동법학회 회장, 한국노사관계학회 회장 등을 지냈고, 지금도 서울대 노동법연구회 회장,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공익위원,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으로 이론과 현실을 접목하는 활동을 왕성하게 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 대화 등을 통해 한국 노동법제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2008년 홍조근정훈장을 받았습니다. 노동법의 전 영역에 걸친 심도 있는 연구와 논문을 바탕으로 노동법학의 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해 왔습니다. 『영혼 있는 노동』(2019), 『노동의 미래』(2020) 등의 저서를 펴내 노동법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학문후속세대 양성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Chul-soo Lee is an Emeritus Professor of labor law at the School of Law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currently serves as Chairman of the Korea Polytechnics Foundation. He has led key academic societies, including the Korean Society of Labor Law, and serves as a public interest member of national labor commissions. A recipient of the Order of Service Merit (Red Stripes) in 2008, he is recognized for bridging theory and practice in labor law. He received his Bachelor’s, Master’s, and Ph.D. degrees in Law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is publications, including “Work with a Soul” (2019) and “The Future of Labor” (2020), reflect his commitment to advancing labor law and mentoring future scholars.

Pil Ho KIM

김필호

포스코 DX 고문

Advisor (Senior VP), POSCO DX

김필호 포스코DX 고문은 미국과 유럽에서 15년간 인간 지능의 형식지화 기술을 연구하였으며, Amazon Web Services (AWS)에서 머신러닝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서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의 AI 기술 지원을 총괄했습니다. 이후 삼성디스플레이 AI 팀장 및 포스코홀딩스 Manufacturing AI 센터장과 포스코DX의 AI 담당으로 대기업 제조분야의 AI기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한 경험도 갖추고 있습니다. 미국 조지아 공과대학교 (Georgia Tech)에서 전자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유럽연합 (EU)의 Marie Curie Fellow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Pil-Ho Kim is a distinguished AI expert and an Advisor at POSCO DX, with a proven track record of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Pil-Ho has led AI initiatives at top Korean conglomerates, including roles as Head of the AI Team at Samsung Display, Head of the Manufacturing AI Center at POSCO Holdings, and Head of AI at POSCO DX. His industry leadership is backed by his experience as a global leader in machine learning at AWS, overseeing the APAC region, and 15 years of foundational research on the formalization of human intelligence. Pil-Ho earned his Ph.D. in ECE from Georgia Tech and was honored as an EU Marie Curie Fellow.

Yong Suk LEE

이용석

노터데임대학교 교수

Professor, Notre Dame University

이용석 교수는 미국 노터데임대학교 Keough School of Global Affairs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기술, 경제, 글로벌 이슈를 전공하고 있습니다. 이용석 교수는 미래 노동 연구소(Future of Labor Lab)의 설립자이자 소장이며, 윤리 및 공동선 연구소(Institute for Ethics and the Common Good)에서 기술윤리 프로그램 책임자(Program Chair)를 맡고 있습니다. 이 교수의 연구는 기술과 노동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며, AI와 로봇 기술이 노동시장과 불평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사회가 이러한 신기술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탐구합니다.

Yong Suk Lee is an Associate Professor of Technology, Economy, and Global Affairs at the Keough School of Global Affairs at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Yong Suk is the founder and director of the Future of Labor Lab and also the Technology Ethics Program Chair at the Institute for Ethics and the Common Good. His research examines technology and labor, focusing on how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ics affect labor and inequality, and how society interacts with these new technologies.

Soohyung LEE

이수형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서울대학교 교수

Monetary Policy Board, Bank of Korea;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이수형 교수는 2024년 4월부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으로 재직 중입니다.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경제학 박사인 이수형 교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응용계량경제학을 전공했으며, 인공지능 등 기술과 국가 정책이 개인과 시장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주요 연구주제로 삼고 있습니다. 이수형 교수는 한미경제학회, 한국경제학회, 한국경제신문 등으로부터 우수연구자 상을 수상하였으며, 국제기구와 한국정부에 연구자문을 수행한 바 있습니다. 이수형 교수의 연구 논문들은 Wall Street Journal, CNBC, Nikkei Asia 등 해외 주요 언론에 비중 있게 소개되었으며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Soohyung Lee is currently a member of the Monetary Policy Board at the Bank of Korea (BOK), while on leav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Prior to her appointment at the BOK, she served as a Deputy Director at Korea’s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nd later earned a Ph.D. in Economics from Stanford University. Following her doctoral studies, Soohyung held a faculty position at the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was a research fellow at Harvard Business School, and served as an external consultant to the World Bank, the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and various Korean government agencies. Her research focuses on data-driven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individuals and markets, including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Her work lies at the intersection of econometrics, labor economics, and market design, and has been cited by renowned international media outlets, including The Wall Street Journal, CNBC, and Nikkei Asia. Additional information is available at www.soohyunglee.com.

Stephan SONNENBERG

웨슬리언대학교 실무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of Practice, Wesleyan University

Stephan Sonnenberg 교수는 미국 코네티컷주 미들타운에 위치한 웨슬리언대학교에서 실무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권 부전공(Human Rights Minor) 프로그램 책임자를 맡고 있습니다. Sonnenberg 교수는 올해 6월 미국으로 돌아오기 전까지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부교수로 5년간 재직하며 Human Dignity Clinic 및 Difficult Conversations Clinic을 운영하였습니다. 이전에는 하버드와 스탠퍼드 로스쿨에서 가르친 바 있으며, 부탄의 유일한 로스쿨에서도 임상 및 실무 교육 부학장(Associate Dean of Experiential and Clinical Legal Education)으로 활동한 경력이 있습니다. Sonnenberg 교수의 연구와 교육은 인권, 개발, 분쟁 해결의 교차점에 집중되어 있으며, 최근 AI 및 신기술 분야로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또한 20개국 이상의 다양한 인권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해왔으며, 현재는 기술과 인권, 전환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 그리고 기후변화로 인한 이주 문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Sonnenberg교수는 하버드 로스쿨에서 법학 박사(JD), 플레처 스쿨(Fletcher School)에서 법과 외교 석사(MA), 브라운대학교에서 학사 학위(BA)를 취득했습니다.

Stephan Sonnenberg is an Associate Professor of Practice and Director of the Human Rights Minor at Wesleyan University in Middletown, Connecticut. Stephan is a new transplant to the United States, having lef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June of this year after spending five wonderful years directing the Human Dignity and Difficult Conversations Clinics at SNU School of Law. He also previously taught at Harvard and Stanford Law Schools, as well as at Bhutan’s only law school where he served as Associate Dean of Experiential and Clinical Legal Education. His academic and clinical work focuses on the intersection of human rights, development, and dispute resolution, and increasingly has also pulled him into the world of AI and new and emerging technologies. He has worked on human rights issues in upwards of 20 countries and a variety of contexts. Much of his current work focuses on human rights and technology, transitional justice, and migration caused by climate change. Stephan holds a JD from Harvard Law School, a MA in Law and Diplomacy from the Fletcher School, and a BA from Brown University.

Jason KWON

오픈AI 최고전략임원

Chief Strategy Officer, OpenAI

Jason Kwon은 OpenAI의 최고전략임원으로서 정책, 법률, 사회적 영향 연구 팀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Y Combinator Continuity의 법무 최고 책임자, Khosla Ventures의 법무 보조 책임자, Goodwin의 소속변호사로 근무했습니다. 법률가로 일하기 전에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자 제품 매니저로 일했습니다. UC 버클리 로스쿨에서 법학 박사(JD) 학위를 받았고,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Jason Kwon is the Chief Strategy Officer at OpenAI, overseeing policy, legal, and social impact research teams. Previously, he was the General Counsel of Y Combinator Continuity, Assistant General Counsel of Khosla Ventures and an Associate Attorney at Goodwin. He was a software engineer and product manager before practicing law. He has a JD from UC Berkeley Law and a BA from Georgetown University.